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4-06-28 23:14



대명절 설을 맞아 차례상 차림이 화제로 어른들께 문의하거나 온라인 상으로 문의가 이루어 진다. 
 

"옛말에 제사는 자랑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이는 지역 마다, 집안 마다 설날 차례상 차림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규칙은 있다.

 

               크기변환_차례상.jpg

 

차례상은 북쪽에 두고 다섯줄을 기본으로 한다. 특히 설날 차례상은 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병풍에서 가장 가까운 쪽부터 1열에는 술잔, 떡국(국), 밥 순으로 놓는다. 술잔·떡국·밥 등은 집안에서 모시는 조상님의 수만큼 올린다. 2열은 탕류, 3열에는 생선과 고기, 4열에는 포와 식혜 등을 놓는다. 마지막 5열에는 과일과 약과 등을 올린다.


특히 3~5열은 손쉬운 차례상차림을 돕는 용어도 존재한다. 3열엔 '어동육서' '두동미서'로 배치한다. '어동육서'는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두동미서'는 생선의 머리를 동쪽, 꼬리를 서쪽으로 놓는다는 의미다.


4열은 '좌포우혜'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두라는 것이다. 5열은 '조율이시' '홍동백서'다. '조율이시'는 왼쪽부터 대추·밤·배·곶감의 순서로 놓는 것을 의미하고, '홍동백서'는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두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차례상을 차릴 때 몇 가지 금기가 있다. 꽁치, 갈치, 삼치 등 이름에 '치'가 붙은 생선을 올리지 않는다. 잉어나 붕어처럼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도 피한다.


고춧가루처럼 붉은 양념은 쓰지 않고 마늘 같은 강한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 모든 음식은 홀수로 올리고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진 복숭아와 붉은 팥은 올리지 않는다.


점점 간소화 되고 요즘 세대들의 사고에 전통풍습들이 변화되고 사라져 가는 아쉬움이 남는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조율이시‧어동육서‧좌포우혜'

    대명절 설을 맞아 차례상 차림이 화제로 어른들께 문의하거나 온라인 상으로 문의가 이루어 진다. "옛말에 제사는 자랑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이는 지역 마다, 집안 마다 설날 차례상 차림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규칙은 있다. 차례상...
    Date2016.02.08 By편집부 Views101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