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가 ‘머물고, 살고 싶은 남원’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민선8기 후반기 본격적인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 성과 창출에 나선다.
1일 시에 따르면 시는 2025년 행정안전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우수’ 지역으로 선정되면서 160억 원의 기금을 확보했다. 지난 2022년부터 확보한 기금은 총 412억 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시가 청년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던 일자리 부족과 교육환경 개선 등을 위한 사업 추진은 순항 중이다.
주요 사업 내용으로는 △천연물 바이오소재 산업 △청년 스마트팜 △남원 인재학당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지리산 활력타운 조성 등이다.
특히 시는 ‘천연물 바이오소재 생태환경 기반조성 사업’을 통해 지리산의 천연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190억 원(지방소멸대응기금 107억 원)을 투입해 바이오 융합센터를 구축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와 함께 ‘청년 에코에너지 스마트팜 혁신단지’를 조성해 스마트 농업을 활성화하고, ‘청년 스마트 미꾸리양식 창업사관학교’를 통해 청년 농업인의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남원 인재학당’을 건립해 청소년들이 대도시로 나가지 않고도 우수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재학당은 스마트 강의실, 그룹스터디실, 체력단련실 등을 갖춘 공공형 학원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오는 2026년 완공이 목표다.
또한, ‘글로컬 대학 30’ 사업을 통해 전북대학교 남원 글로컬 캠퍼스를 설립하고,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으로 지역교육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울러 시는 지리산권 지역의 임산부와 신생아, 청년들의 주거·보육·의료 서비스 인프라 구축에도 나선다.
시는 ‘지리산 활력타운 조성사업’을 통해 청년층을 위한 맞춤형 주거·문화·복지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또한, ‘공공산후조리원(산후케어센터 다온)’을 올해 10월 개원 목표로 건립 중이다.
최경식 시장은 “미래산업 일자리 창출과 정주 환경 개선을 통해 청년층의 유입과 정착을 유도할 것”이라며 “남원시가 지방소멸 극복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