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4-06-28 23:14



최근 길을 걷다가 스마트폰을 보면서 서로 부딪치는 장면을 쉽게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휴대폰 보유율은 92.4%로 만 6세 이상 국민 10명중 9명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


국민들의 지나친 스마트폰 사랑은 이미 도를 넘었고, 자신의 분신 마냥 한시도 떨어져서는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폐인 증상이 나올 정도 이다.


교통 안전공단에서 최근에 95.7%가 보행 중 스마트폰을 1회 이상 사용하고 있고, 5명중 1명은 보행 중 폰 사용으로 인해 사고가 날 뻔 한 경험이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어린이들이 보행 중 스마트폰을 2시간 이상 사용하면 교통사고 위험도가 5.8배 높아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문자보행이라는 신조어가 생길정도로 심각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교통안전공단은 스마트폰을 쓰며 걷는 보행자는 사고를 당할 위험이 76%나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한다.


폰에 집중한 나머지 주위를 제대로 살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청각능력도 떨어져 사고위험에 대한 대처가 느려져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달 11일 교통안전공단의 발표에 의하면 스마트 폰 사용으로 인한 보행 중 교통사고는 2009년 437건에서 2013년 848건으로 4년만에 2배 가까이 증가 했다.


문자보행을 반복할 경우 목과 허리디스크를 유발한다. 우리나라 뿐 만아니라 지금 전 세계도 지나친 스마트폰 사랑으로 인해 위험천만한 사고에 노출 되어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에 집중 한 채 강에 떨어져 목숨을 잃거나, 선로로 떨어져 목숨을 잃는 사건이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다.


이에 따라 벨기에는 스마트사용자 전용도로를 운영하고, 스웨덴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금지라는 표지판이 등장, 뉴욕에선 앞을 보고 다니라는 표시가 바닥에 새겨져 있으며, 미국 일부 도시들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을 하면 벌금 까지 물리는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다.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안전까지도 위협하는 행위이기에 더욱 보행 중 엔 사용을 자제해야 할 것이다.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배려도 중요하지만 보행자 스스로 위험성을 깨닫고 특히 횡단보도, 보도가 없는 도로에서는 음악 감상, 문자전송 등에서 스마트 사용을 특히 자제해야한다.


걸을 때 스마트폰을 잠시 내려두는 이 사소한 행동이 나의 안전을 지켜 준다, 우선 지나친 스마트폰 사랑은 위험천만한 사고를 야기 하기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새겨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사고가 근절 될 때까지 집중적인 관심과 세계 여러 나라의 규제나 제도의 실효성을 보고 이에 따라 관계법령을 제정을 통해 단속을 펼쳐야 하며 보행자 스스로 보행 중 엔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남원경찰서 중앙지구대 순경 신희선>

수정한 이유 :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