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4-06-25 22:24



신희선.jpg

남원경찰서 중앙지구대 순경 신희선

 

여름이 더워야 곡식이 잘 영근다는 어른들의 말씀이 있다.


그래서 여름은 적당히 더워야 맞는 계절임에도 불구하고 더워진 공기와 내리쬐는 태양빛은 우리의 몸을 급격히 지치게 하고 무기력하게 만들어 일사병과 열사병에 노출시켜 죽음에 이르게 한다.


실제로 지난 몇 해의 여름동안 열병 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자연재해로 사망한 사람보다 더 많았다는 보고가 있을 만큼 여름철에는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여름에 가장 흔한 질병 일사병은 흔히 사람들이“더위를 먹은 병”이라고 말한다.


일사병은 더운 공기와 햇볕에 의해 우리 몸이 체온조절을 하지 못해 생기는 병으로 보통의 경우 어지러움 증이나 두통, 피로, 무기력함 등의 평범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거나 심한 경우 정신이상, 실신 , 저혈압 등의 특이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일사병은 대체적으로 염분과 수분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규칙적인 수분섭취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일사병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섭취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 의식이 없을 때는 아무것도 섭취 하지 않도록 한다.


열사병은 몸에 고열이 발생하고 정신이상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서는 땀을 많이 흘리거나 흘리지 않을 수 있고 얼굴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이 나며 탈진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체온조절중추가 정상 작동되지 않아 고열과 의식변화 가 동반되며 덥고 건조한 피부를 보이며 혼수상태에 빠지기 쉽다.


이럴 때는 최대한 빨리 환자의 체온을 낮추고 옷을 벗겨 찬물로 온 몸을 적시거나 얼음이나 알코올 마지와 함께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을 쏘이면서 신속히 병원으로 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식 저하가 있는 경우 구강 수분섭취를 하면 폐로 흡입되어 위험할 수 있으니 절대 물이나 이온음료를 먹이지 말아야한다.


이렇듯 일사병과 열사병은 비슷한 것 같지만 증상도 다를 뿐 더러 응급조치 또한 다르다.

 

중요한 점은 일사병을 열사병으로, 열사병을 일사병으로 착각하여 부적절한 응급처치를 했다가는 환자의 생명까지도 앗아갈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를 확실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물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균형 잡힌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더위에 대한 적응 능력을 키우는 것이 남은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는 한 방법이다.


평소에 간단한 스트레칭과 충분한 수면으로 아직도 여전히 무더위가 진행되는 지금, 열사병이 잘 초래되는 노인이나, 어린이, 병약자는 물론 우리 모두 건강한 생활습관과 불쾌지수를 낮추는 멋진 웃음, 그리고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마지막 여름을 알차고 시원하게 마무리 하도록 하자. <남원경찰서 중앙지구대 순경 신희선>

수정한 이유 :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