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4-06-30 23:02



6.jpg

 

남원시(시장 이환주)는“가장 좋은 복지는 일을 통한 복지”라는 슬로건으로 매년 저소득 계층의 복지증진과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의 자활의욕 고취 및 자립능력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자활참여주민 교육, 자활사례관리 상담, 사업 컨설팅, 자산형성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도내 유일한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유형다변화시범사업 추진

남원시는 2015년 보건복지부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시범사업에 선정돼 전북에서 유일한 사회적협동조합으로 등록됐으며, 보다 폭넓은 자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에는 복합영농사업등 8개 사업에 17억원을, 2020년에는 7개 사업에 18억원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7개 사업에 19억원을 투입해 약100여명의 저소득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자활사업단으로는 사회적농업, 카페, 농촌환경개선, 돌봄, 웰빙누릉지 등 총 7개의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 현재까지 12개의 자활기업이 창업해 현재는 보은건설, 월성건축, 크린퀵서비스, 까망돈 등 총 5개의 자활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9.jpg

 

◆저소득 청년 정착지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남원시는 청년 채용 위주의 자활사업단 개발을 목표로 2020년“카페”와“월면가”, 2021년“미태리”,“매머드”와 같은 청년자활근로사업단을 개점해 관내 저소득 청년들이 취·창업 할 수 있는 일자리를 꾸준히 발굴하고 있다.

 

“월면가”는 베트남식 쌀국수 프랜차이즈 전문점으로 2020년 9월에 개점했고 현재 5명의 청년자활근로자가 일하고 있으며,“미태리”는 파스타와 피자를 전문으로 하며 2021년 2월에 개점해 7명의 청년자활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올해 5월 남원의료원 내에 개점한“매머드” 커피 전문점으로 4명의 청년이 근무하며, 추후 설립요건 충족 시 자활기업으로 창업을 하게 된다. 특히“매머드”는 남원의료원과 공공기관이 협력해 이루어 낸 청년자활사업단으로 사회적공헌 측면에서도 좋은 모델이 되고 있다.

 

7.jpg

 

◆남원시, 보건복지부 지역자활센터 평가“우수”

남원지역자활센터는 2020년 자활참여자의 취·창업, 탈수급등 자활성공률, 자활사업단의 수익·매출 성과, 지역유형별 특화사업 개발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보건복지부 시설평가에서“우수기관”으로 선정됐고 1,900만원의 운영비를 추가로 지원 받았다.

 

또한 2020년 지자체 합동평가(자활참여자 성공률, 통장사업 모집률 부문)에서 도내 2위를 달성해 2021년“우수지역자활센터”로 평가돼 인센티브로 3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특히 통장사업 모집률 부문은 도내 17개 센터 중 1위를 기록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저소득층의 자립지원을 위한 자산형성지원사업 적극 추진

작년 한해 저소득층 자산형성지원 사업을 추진해 총 85명이 희망·내일키움과 같은 목돈마련 통장에 가입을 했다.

 

희망·내일키움통장은 자립·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입기간 3년동안 본인저축액에 근로소득장려금을 매칭 적립해 목돈으로 돌려주는 자산형성지원 사업이다.

 

올해는 6월 현재 희망키움통장(Ⅰ) 9명, 희망키움통장(Ⅱ) 9명, 내일키움 15명, 청년희망키움 13명, 청년저축계좌 9명이 신규 가입해 6월 현재 총 55명이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담 및 자활사례관리를 지원받고 있다.

 

8.jpg

 

◆남원시 특화 저소득층 자립 지원을 위한 자활기금 운영

남원시는 2000년부터 저소득층의 자립지원을 위해서 자활기금을 조성해 시 특색에 맞게 운영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저소득층 융자 중심의 지원에서 탈피와 지원사업 확대를 내용으로 조례를 개정했고, 보다 효과적인 저소득층의 자립자활을 지원하고자 다변화를 시도를 하고 있다.

 

작년 한해 저소득층 고용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활기업과 사업단에 자활기금 70백만원의 융자지원을 했고,“자활근로사업 참여자 역량강화교육”,“자활교육 참석장려금 지원”,“사업단 참여자 기능습득 지원”,“자격증 취득장려금 지원”4개 사업으로 자활참여자의 역량배양을 통한 탈수급 기반 조성에 10가구 2,629천원을 지원했다.

 

또한, 자존감 및 부적응 등 심리적 어려움으로 자활을 주저하는 참여자들에게 “자활동기 심리상담 치료비 지원”으로 14가구 4,307천원 지원해 자활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탈수급자의 소득 보전을 통한 저소득층의 탈수급 독려에“탈수급자 4대 보험료 본인부담금 지원”으로 38가구 9,300천원을 지원했다.

 

조환익 주민복지과장은“우리시는 앞으로 자활사업의 유형다변화를 꾀하고 취약계층의 꿈을 실현하는 자활사업단 개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으며, 저소득층의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저소득층의 일자리, 취·창업, 자산형성지원 관련 상담은 주민복지과 자활지원계(☎620-6855,6857,6858)나 남원지역자활센터(☎632-4747),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2 남원시보건소, “ 행복한 마음건강 교실 ”운영 file 남원넷 2016.02.26 2978
1801 남원시 장애인 콜택시, 교통약자의 사회참여 활동 큰 보탬 file 남원넷 2016.02.26 5204
1800 남원시노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강 file 남원넷 2016.02.29 3803
1799 남원시보건소, 다문화가정 함께 영양챙기고 건강올리고 file 남원넷 2016.02.29 3246
1798 남원시, 저소득층 자립 유도하는 일자리 창출 file 남원넷 2016.03.02 3341
1797 남원시보건소, 개학맞아 학교급식소 식중독 사전예방 점검 실시 file 남원넷 2016.03.03 3254
1796 남원시보건소, 주간재활 프로그램 연중 운영 file 남원넷 2016.03.03 4053
1795 남원시노인복지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발대식 개최 file 남원넷 2016.03.04 3967
1794 남원시보건소, 영양플러스사업 대상자 신규 모집 file 남원넷 2016.03.04 4877
1793 남원시, 위생 해충 구제 해빙기 방역소독 실시 file 남원넷 2016.03.07 3670
1792 남원시보건소, 노인의치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file 남원넷 2016.03.07 3590
1791 대한노인회남원시지회,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발대식 개최 file 남원넷 2016.03.08 3923
1790 남원시보건소, 찾아가는 장애인 구강의료서비스 실시 file 남원넷 2016.03.08 3762
1789 지카바이러스증, 성접촉에 의한 전파 예방 권고사항 준수 당부 file 남원넷 2016.03.08 3917
1788 남원의료원, 2016년 Q .I 발대식 file 남원넷 2016.03.09 3860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3 Next
/ 153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